습도 교정의 방법

이전 포스팅에서 교정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페이지참조(하이퍼링크) : 교정이란?(홈페이지 관련 게시글로 이동합니다)

습도 교정은 통상, 습도계를 안정적으로 습도가 유지되는 환경에 넣고 교정된 습도 기준기에 대한 비교를 통해 진행됩니다.

한 포인트에서만 교정할 경우/값이 변할 경우 습도계의 출력값이 어떻게 될지 가늠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습도계를 사용하고자 하는 온도 범위에서 원하는 습도 범위 내 3 포인트를 교정합니다.

습도 교정 시 기준 값은 주로 습도 발생기나 항온항습챔버에 의해 형성되며, 해당 기기의 정확도는 측정불확도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습도 발생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2온도식 발생기(Two-temperature generation)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를 가습 하여 노점이나 증기압이 정해진 기체를 다른 온도(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챔버로 보내서 습도를 변화시키는 방법입니다. 

2압력식 발생기(Two-pressure generator)
높은 압력에서 기체를 가습 시킨 후 같은 온도 조건 하에서 낮은 온도로 팽창시켜 습도를 변화시키는 방법입니다.
기체의 전체 압력이 낮아지면서 수증기의 분압도 낮아지는 원리에 의해서 습도가 변화됩니다. 초기 습도를 알면 팽창 후의 습도를 알 수 있습니다.

염(Salts)
포화염(또는 불포화염) 용액이나 기타 화학물질은 폐쇄된 공간에서 일정한 상대 습도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상대 습도 값은 화학 염 종류, 용액의 농도, 온도 등에 의해서 정해집니다.

주로 2온도식, 2압력식은 챔버로 제작되어 활용되고, 염 방식은 1회용 앰플방식으로 활용됩니다.

 

습도계 교정시 권장사항

습도계가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프로브와 전자회로)에는 조합된 것을 하나로 보고 함께 교정을 해야 합니다.

가능하다면, 교정은 습도계가 사용되는 환경과 동일한 환경 또는 유사한 환경(온도, 습도, 압력 및 유량 등)에서 교정되는 게 좋습니다.
습도계 지시 값 중 일부 측정 단위(예를 들면 g/m2등)는 어떤 기체인가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위에서의 교정은 사용된 기체에서만 그 결과가 유효합니다. 그 이유는 물과 공기의 분자량 비율은 0.62인데 반해서 물의 메탄에 대한 비율은 1.1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습도계의 교정 주기는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21-0091호에 따라 12개월로 권장됩니다.
*페이지참조(하이퍼링크) : 국가기술표준원(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습도교정 #측정불확도 #노점발생기 #습도발생기 #교정주기

Share the Post: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