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nitive Coexistence

2.4GHz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무선통신 기술과 달리 Cognitive Coexistence은 보다 좁은 주파수 갭을 활용하며 한 채널을 영구적으로 배제하지도 않습니다. 

10ms 단위로 모든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가장 최적의 채널을 식별하고 변화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맞춰 이상적인 채널 목록을 갱신합니다.

아래 다이어그램은 2.4GHz 대역에서 Cognitive Coexistence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각 막대는 2.402GHz ~ 2.480GHz에서 1MHz의 갭을 나타냅니다.

녹색 막대들은 신호가 전송된 채널입니다. 막대가 높을수록 더 자주 사용된 것입니다. 주황색 막대들은 다른 무선 트레픽이나 노이즈에 의해 간섭 영향을 보여줍니다.

이렇듯 Cognitive Coexistence는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맞춰 자유로운 섹션을 잘 활용하고 최상의 통신 환경을 유지합니다.

Cognitive Coexistence의 무선채널 관리 예

일반적인 AFH 시스템은 무선채널 목록을 전환할 때 노이즈가 있는 채널을 선제적으로 차단합니다. 이러한 차단이 반복되면 데이터 손실 및 네트워크 장애 가능성이 상승합니다.

*페이지참조(하이퍼링크): 네트워크 간섭 회피 기술 中 AFH

Cognitive Coexistence는 무선채널 목록을 늘 최적의 상태로 갱신합니다. 이를 통해 Cognitive Coexistence는 까다롭고 혼잡한 무선망 안에서도 최적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설명을 위해 무선통신 주파수 대역에 1, 2, 3, 4 채널만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2번 채널에 간섭이나 장애가 발생할 때 AFH는 송신기는 채널을 2번 채널을 차단하고 가능한 채널 1, 3, 4로 송신합니다. 수신기는 1, 2, 3, 4의 채널 목록을 따르기 때문에 동기화가 되지 않고 데이터 손실 위험이 증가합니다. 




동일한 상황에서 Cognitive Coexistence는 채널 목록을 즉각 개선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송신기는 1, 2, 3, 4의 채널 목록을 1, 3, 3, 4로 수정했고 수신기도 1, 3, 3, 4로 채널 목록을 수정하여 동기화를 유지시키고 끊기지 않는 데이터 망을 유지합니다.




#무선센서 #무선제어 #무선시스템 #IoT #주파수간섭 #네트워크간섭 #간섭회피 #건물관리시스템 #BMS #buildingmanagementsystem #Wifi #Bluetooth #zigbee #thread #2.4GHz #w-Modbus #LumenRadio #CognitiveCoexistence

Share the Post:
위로 스크롤